
美 물가, 두 달째 2%대…'빅컷' 가능성은 낮아져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5%를 기록해 3년6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CPI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6%)를 밑돌았지만 근원 CPI의 전월 대비 상승률은 예상치(0.2%)보다 높은 0.3%를 나타냈다. 오는 17~18일 열리는 미국 중앙은행(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 이상 인하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경기가 냉각되는 가운데 중국 경제 침체가 깊어지면서 국제유가도 10일 2년9개월 만에 최저로 하락했다.
○‘스몰 컷’ 가능성 커졌다
이달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폭은 0.25%에 그칠 것이란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시마 샤 프린시펄애셋 이사는 블룸버그통신에 “근원 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Fed 매파 위원들이 마지막 인플레이션 불씨를 끄기 위해 신중한 결정을 해야 한다는 데 힘을 실어줬다”고 말했다. 앞서 발표된 8월 실업률이 전월 4.3%에서 4.2%로 하락한 데 이어 근원 CPI까지 상승해 이른바 ‘스몰 컷’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Fed가 다음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릴 확률은 전날 34%에서 이날 17%로 낮아졌다. 경기 냉각 우려로 뉴욕증시는 초반 하락세로 출발했고 10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은 소폭 올랐다.
○깊어지는 침체 우려
침체 우려로 유가도 급락했다.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인 중국 수요가 주춤한 가운데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원유 수요 예상치를 하향 조정한 영향이다. 10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원유(WTI)는 전날보다 4.3% 떨어진 배럴당 65.7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3.7% 내린 69.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모두 2021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중국 세관에 따르면 중국의 8월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0.5%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예상치(2%)에 미치지 못했으며 전달 증가율(7.2%)보다 크게 둔화했다. OPEC은 월간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석유 수요 증가 폭이 당초 일일 211만 배럴이 아니라 하루 203만 배럴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현일/김세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