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main image

'밥상 물가' 들썩이는데... 정부 "2% 물가 유지" 말하는 이유

제작 한국일보

집중호우로 채소류 도매가격이 크게 오른 24일 오전, 시민들이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채소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폭우 피해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밥상 물가’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정부는 2%대 물가 상승률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급 부족으로 물가가 일시 반등하더라도 전반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체감 물가와 물가지수 간 괴리가 큰 상황에서 물가 안정에 바탕을 둔 물가정책이 체감 물가를 잡는 데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미지수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폭우가 시작되기 전보다 최대 5배 가까이 뛰었다. 폭우 전 청상추 4㎏은 1만9,052원이었으나, 폭우 피해로 가격이 약 4.7배(9만360원) 급등했다. 적상추(346.6%)와 오이(246.7%), 시금치(207.4%), 깻잎(80.2%) 등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급등한 농산물 가격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정부 생각은 다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일시적 수급 불안으로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예상되지만 물가 흐름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1개월 만에 2%대에 진입(2.7%, 6월 기준)한 물가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자신하는 건 농산물이 전체 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가중치도 적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계의 소비지출액 비중이 높은 460개 품목의 가격변동분에 가중치를 반영해서 계산한다. 해당 지수에서 채소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1.69%에 불과하다.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 물가 상승폭이 크더라도 물가 상승률 산출엔 제한된 정도만 반영되는 것이다. 다만 아직 오지 않은 폭염(8월), 태풍(9월) 등을 고려하면 이 같은 ‘물가 괴리’는 더 커질 수 있다.

기상 악재가 생활 물가를 넘어 전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역대 최장 장마로 기록된 2020년 9월 당시 출하량이 줄자 채소류(34.7%) 가격이 급등했고, 이는 물가 상승률을 0%대에서 1%대로 밀어올렸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 둔화세가 꺾일 것으로 보진 않지만 변동성 우려가 제기된 만큼 물가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