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나올 때마다 '덜덜'…韓 스타트업 생존 위기 놓였다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A사는 최근 고객사 직원이 사내 복지, 회사 규정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업무용 AI 챗봇 개발 사업을 강화했다. 하지만 이달 6일 열린 오픈AI의 개발자 대회를 보고 해당 사업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 A사 대표는 “AI 챗봇 개발은 개발자 두 명이 달라붙어도 꼬박 2주가 걸리는데 오픈AI는 일반인이 1시간 안에 만들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놨다”고 말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AI 챗봇 ‘챗GTP’ 개발사인 미국 오픈AI가 무차별적인 생태계 확장 전략을 펴며 생성 AI 분야의 초격차 토대를 다지고 있다. 핵심 기술인 대규모언어모델(LLM) 알고리즘은 물론 일반 사용자와 맞닿아 있는 하위 서비스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는다. 오픈AI가 새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일 때마다 글로벌 AI 시장 지형이 한순간에 뒤바뀔 정도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에 뛰어든 스타트업들이 오픈AI발(發) 지각 변동에 휘청이고 있다.
오픈AI는 최근 첫 개발자 대회에서 AI 생태계의 판도를 뒤바꿀 서비스를 대거 발표했다. 코딩을 모르는 사람도 자신만의 맞춤형 챗봇을 만들 수 있게 한 ‘GPTs’가 대표적이다. AI 시대를 앞당길 기술로 평가받지만 정작 글로벌 AI 생태계에 속한 챗봇 개발 업체에는 직격탄이다. AI 학습 플랫폼 셀렉트스타의 황민영 부대표는 “오픈AI가 GPTs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AI 챗봇을 개발하는 대부분 스타트업은 앞으로 사업하기 어려워졌다고 보면 된다”고 지적했다.
오픈AI는 이달 개인들이 만든 다양한 챗봇을 거래할 수 있는 ‘GPT 스토어’도 선보인다. 이경전 경희대 경영·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앱스토어로 전용 생태계를 조성한 애플처럼 강력한 AI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라며 “샘 올트먼이 떠나더라도 오픈AI의 영향력은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구도”라고 했다.
"챗GPT 새 기능 넣을 때마다, 韓 스타트업 수십 개 증발"
데이터 입력량 늘리고 요금 인하…텍스트·음성 변환 기능도 넣어
지난 6일 열린 오픈AI의 첫 개발자대회(OpenAI DevDay)에 대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의 분석이다. 국내외 AI 개발자들의 평가도 비슷하다. 오픈AI가 생성형 AI의 핵심 기술인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성능 강화에 그치지 않고 각종 AI 파생 서비스까지 내놓으면서 상당수 국내외 AI 스타트업이 생존을 위한 사업 전환의 고비에 맞닥뜨렸다는 지적이다.
○스타트업 영역까지 사업 확대
오픈AI가 개발한 최신 LLM GPT-4터보는 텍스트의 음성 변환 기능까지 지원한다. ‘AI성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스타트업과 핵심 사업이 겹친다. 미국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인 AI 음성생성 업체 일레븐랩스의 제품보다 챗GPT 이용료가 20% 이상 저렴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멀티모달 AI 전문기업 액션파워의 조홍식 공동대표는 “오픈AI가 큰 것(LLM)에 집중할 줄 알았는데 작은 것(하위 파생 서비스)까지 공격적으로 빠르게 개발하고 있다”며 “탄력받은 눈덩이처럼 몸집을 빠르게 키우고 있다”고 우려했다.
○오픈AI 속성 진화에 속수무책
오픈AI는 GPT를 활용한 서비스를 누구나 챗GPT 플랫폼에서 판매할 수 있는 ‘GPT 스토어’도 이달 출시한다. 국내에서 비슷한 플랫폼을 운영하는 뤼튼테크놀로지, 달파 등 AI 스타트업이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뭔가 발표할 때마다 상당수 AI 스타트업이 사업 모델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AI가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 때마다 국내 스타트업 수십 개가 사라진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기술 물줄기 놓치지 말아야”
글로벌 빅테크의 기술 물줄기에 과감히 올라타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이경전 경희대 경영·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제일 성능이 좋다는 LLM조차 GPT-3.5를 따라잡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AI 주권론’에 갇혀 시야를 국내에만 두지 말고 오픈AI와의 서비스 질 격차를 줄이는 데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