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내려 앉을 것이라는 정부 전망이 나왔다. 그간 출산율 바닥으로 여겼던 ‘0.7명’을 밑도는 역대 최저치다. 정부의 출산율 저점 전망치는 새 추계가 나올 때마다 하락하고 있다. 2019년 추계 0.86명에서 2021년 추계 0.70명을 거쳐 0.65명까지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다.
14일 통계청이 낸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합계출산율은 내년 0.68명으로 줄고 2025년에는 0.65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이 출산율 마지노선으로 간주한 ‘0.8명’이 깨진 데 이어 심리적 최저점인 ‘0.7명’마저 무너진 것이다.
그나마 이 전망은 출산율이 중간 수준(중위)으로 이어질 경우를 가정한 수치다. 최악의 시나리오로 추산한 저위 추계로 보면 2026년 합계출산율은 0.59명까지 떨어진다.
통계청은 이번 추계에서 출산율이 내후년 0.65명으로 바닥을 찍고 반등해 2027년 0.7명대를 회복한 뒤 2040년 1.05명을 거쳐 2050년에는 1.08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47명(2050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