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엔화의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엔-달러 기준으로 151.9엔 수준으로 1990년 이후 가장 약한 모습을 보였고 원-엔 기준으로는 874원을 기록했다. 엔화의 약세 흐름이 두드러지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우선 일본 중앙은행의 초완화 통화정책 때문이며 두 번째는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가 크게 벌어져 있기 때문이다. 일본 중앙은행의 초완화통화정책은 이미 오랜 기간 유지돼 왔다. 대표적으로는 수익률곡선 통제(YCC) 정책이 있다. 10년물 국채금리 상하단 범위를 설정해 그 이상 금리가 움직일 경우 무제한 국채매입을 통해 금리 수준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다. 초완화통화정책이 올해 더욱 심한 엔화 약세로 이어진 원인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흐름에 있다. 전세계 많은 국가들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여왔다. 물론 일본의 물가도 빠른 속도로 높아져, 일본 전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1월 4.4%까지 높아지며 1990년대 수준의 물가 흐름을 재차 보였다. 다른 국가들의 정책금리가 일본의 정책금리보다 높아지자 엔화는 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금리는 일종의 돈의 가격이기 때문에 엔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진 것이다. 일부 시장 참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