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경제 강국인 독일이 올해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2000년대 초반 ‘유럽의 병자’ 신세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제조업 비중과 중국 의존도가 높고,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가 크다는 점에서 독일 경제는 한국과 구조적 공통점이 많아 한국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 진형태·정다혜 조사역, 김민수 과장이 쓴 ‘최근 독일경제 부진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독일은 지난해 4분기부터 2분기 연속 역성장을 기록해 ‘기술적 침체’에 진입한 뒤, 올 2분기에도 제로 성장에 그쳐 부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독일의 경제성장률을 -0.3%로 전망했는데, 주요 7개국(G7) 국가중 올해 유일하게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 경제는 1990년 통일 이후 고질적인 고실업·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해 2000년대 초반 ‘유럽의 병자’로 불렸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실업률이 크게 하락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이 살아나면서 2010년대 중반부터는 ‘경제의 슈퍼 스타’로 부상했다.

최근 독일 경제가 부진에 빠진 배경으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