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발병을 줄이려면 현재 적용하는 간 수치 대신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B형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최원묵 교수 연구팀은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을 수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 논문을 소화기분야 국제 학술지 ‘거트(GUT)’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7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당 100만단위(IU) 구간에 속했던 환자들은 치료 여부와 무관하게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를 치료 여부에 따라 치료군과 비치료군으로 나눴다. 치료군은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B형간염 치료를 시작한 성인 환자 4693명으로, 이들을 평균 7.6년간 추적 관찰해 그중 193명에게 간암이 발병한 것을 확인했다. 간염 치료를 받지 않은 비치료군 5016명 중에서는 322명이 간암에 걸렸다. 비교 결과 간염 치료는 간암 발생 위험을 약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당 100만IU 구간에 속한 환자들은 치료군과 비치료군 모두에서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컸다. 바이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