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임대차 2법 시행 원인 가격 상승에 거래감소 이어져 최근까지 우리 사회를 흔들고 있는 전세사기 사태로 아파트 선호 현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택 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단독·다세대·연립 등 비(非)아파트 거래 비중은 급감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75.8%로 지난해 74.2%에 비해 1.6%포인트 커졌다. 정부가 주택거래량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연 단위로 가장 큰 수치다. 분기 기준으로는 2011년 1분기 76.5%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다.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아파트값이 뛰기 시작한 2019년 67.7%에서 2020년 73.0%까지 커졌다가 가격이 최고점을 찍은 2021년에는 65.9%로 줄었다. 저금리와 임대차 2법 시행으로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과도한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감이 거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이어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며 아파트값이 급락한 2022년에는 아파트 거래 비중이 58.7%까지 떨어졌으나, 전세사기가 기승을 부린 지난해 다시 74.2%로 커졌다. 올해 1분기 전국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은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