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국 4.7%, 캐나다 10.01%. 최근 10년간 연기금 평균 수익률이다. 우리나라 국민연금 수익률은 캐나다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차이는 어디에서 나올까.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 산하 전문가 단체인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기발위)는 자산 배분이 국내 상품에 쏠려있는데다, 위험 자산 투자 비율이 낮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5일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가 지난 1일 공청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연금 기금규모(2023년 5월 기준 973조원)는 세계 3위로 성장했지만, 수익율은 해외 주요 연기금 사이에서 최하위권이다. 최근 10년간 각 국가의 연기금 평균 수익률을 보면 △한국(4.7%) △일본(5.78%) △캐나다(10.01%) △미국(7.03%) △네덜란드(5.09%) △노르웨이(6.69%) 등이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 한국의 2배 이상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박영석 기발위 위원장은 "수익률 차이 배경으로는 해외의 공적연기금의 자산 배분 구조를 볼 필요가 있다"며 "이들 국가의 높은 투자 수익률은 우리나라보다 위험자산 투자 비율이 높도록 의사결정을 했기 때문에 달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해외 연기금(일본 제외)의 위험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