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의 속임수 능력이 정교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0일(현지시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패턴'에 발표한 논문에서 AI 시스템이 상대방을 배신하고, 허세를 부리고, 인간인 척 속임수를 쓴 많은 사례를 확인했다고 소개했다. 연구진은 메타가 20세기 초 유럽 7대 열강의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고난도 전략게임인 '디플로머시'에서 인간에 필적하는 성적을 거둔 '시세로'(Cicero)라는 AI 프로그램을 공개하자 AI 속임수 능력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 게임에서 승리하려면 정견 발표, 외교 협상, 작전명령 등에 나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각종 상호작용과 배신, 속임수, 협력 등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특성 탓에 AI는 이 게임을 배울 수 없을 것으로 여겨졌는데, 메타는 시세로가 인간 참여자 중 상위 10% 수준의 게임 능력을 보여줬다고 홍보했다. 메타는 "시세로가 대체로 정직하고 도움이 되고, 인간 동맹을 의도적으로 배신하지 않도록 훈련받았다"라고도 강조했다. 하지만 공개된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진은 시세로가 계획적으로 거짓말을 ...